낯선 장소에서 착륙이나 이륙을 하고자 할 때에는 안전을 위해 언제나 그 지역에 대하여 최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여야 합니다. 관찰기술은 이러한 정보를 얻는 방법입니다.
고공관찰(high reconnaissance)
고공관찰의 목적은 바람의 방향과 속도, 착지점, 착륙지역의 적합성, 접근 및 출발 기준선, 장애물과 장애물이 바람형태에 미치는 영향, 그 지역으로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가장 적합한 비행경로 등을 결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고공관찰을 수행할 때는 비상시에 강제 착륙할 지역에 대해서도 특별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고공관찰을 하기 위한 고도와 속도, 그리고 비행형태는 바람과 지형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그러나 너무 높은 곳에서 관찰하는 것도 문제지만 너무 고도를 낮추어 관찰을 해도 문제가 있다. 주변을 관찰하는 것과 비행에 장애물을 피하기 위하여 주의배분을 해야만 할 정도로 너무 낮게 비행해서는 안 됩니다. 상공에서 관찰할 때 비행고도는 지 표면에서 300~500fE 정도가 적당하고 반드시 지켜야 할 규칙은 충분한 고도를 유지하여 엔진고장시에 바람을 받고 착륙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45° 각도로 관찰해야 장애물의 고도, 장애물의 존재, 지역의 크기, 지형의 경사 등등을 최대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항상 안전한 고도와 속도를 유지하고 가능한 한 강제착륙지역(비상착륙지역)에 도달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저공관찰(low reconnaissance)
저공관찰은 착륙지역에 접근할 때 이루어집니다. 접근비행을 할 때 공중에서 관찰했 던 것들을 재확인하고 전선이나 기울기, 작은 균열 등 높은 고도에서 보지 못할 수도 있는 새로운 것들에 대하여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모든 것이 괜찮으면 착륙하도록 접근을 계속합니다. 그러나 착륙할 것인가 또는 착륙을 포기할 것인가는 유효전이양력(ETL)을 상실 하기 전에 결심하여야 합니다. 유효전이양력 전에 이탈하는 기술을 복행이라고 합니다. 최종 접근을 제자리비행상태로 하고 착륙한다면 항공기를 지면에 내리기 전에 세밀하게 착륙지점을 체크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지면까지 계속하여 접근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먼지가 날리거나 다른 물체들이 비산 되기 시작하면 항공기의 와류로 인해 시야를 가리거나 엔진 인렛에 영향을 줄 수 있음. 만약 갑작스럽게 시야가 차단되거나 상황이 발생되게 되면 조종사는 공간정위상실(SD)에 빠질수 있기 때문임). 항공기가 지상에 닿으면 안전한 위치인지 항공기의 안정성을 확 인할 때까지 로터의 회전속도를 유지합니다.
지상관찰(ground reconnaissance)
낯선 지역에서는 출발하기 전에 해당지역을 분석하여 고려할 요소가 몇 가지 있습니다. 가장 좋은 출발경로를 결정하고 항공기를 현재 위치에서 이륙지점으로 이동할 경로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이륙계획을 세울 때 고려할 사항은 항공기의 하중, 장애물의 높이, 지역의 형태, 바람의 방향 등이 있습니다. 항공기에 많은 화물을 탑재하였으면 장애물을 벗어날 만큼 충분한 동력이 있는지 판단하여야 합니다. 때에 따라 정풍방향으로 이륙하는 것보다 낮은 장애 물 위로 경로를 택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또한 지형형태를 잘 판단하여 항공기를 조작할 여지가 많고 필요시 이륙포기를 할 수 있는 경로를 택하여야 합니다. 이륙하는 경로를 결정하는데 바람의 분석도 요망됩니다. 바람의 형태도 출발경로에 있는 장애물로 인하여 변할 수 있고 항공기의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바람의 방향을 판단하는 한 가지 방법은 약간의 티끌이나 풀잎조각을 떨어뜨리고 어느 방향으로 날리는지 보거나 주변 지형지물의 날림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공기의 하강풍 때문에 바로 주변의 사물은 부정확 하니 항공기보다 높거나 약간 떨어져 있는 사물을 참조하는 것 이 좋습니다. 가능하면 회전익항공기에서 이륙지점까지 직접 걸어서 경로를 점검하여야 합니다. 위험을 초래할지도 모를 장애물을 확인하고 회전익과 충분한 간격이 있는지도 판단하여야 합니다. 뒷바람이 부는 곳에서는 이륙할 위치를 표시하여 꼬리회전익이나 회전익이 항공기 뒤에 있는 장애물과 충분한 간격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표시물은 무거운 돌이나 통나무 같은 것을 사용하여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헬리콥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전익항공기] 헬리콥터 이야기(머싱 Mushing) (0) | 2024.01.25 |
---|---|
[회전익항공기] 헬리콥터이야기(공간정위상실 Spatial Disorientation) (0) | 2024.01.24 |
[회전익항공기] 헬리콥터이야기(불예측성 요/테일로터의 효과상실) (0) | 2024.01.23 |
[회전익항공기] 헬리콥터 이야기(저중력 조건과 마스트충격, 회전익 저속회전과 실속) (0) | 2024.01.20 |
[회전익항공기] 헬리콥터이야기(후진회전익 실속, 지면공진) (0) | 2024.01.19 |